

법련사 역사
시흥시에 있는 법련사(法蓮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경기도 제2교구의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법련사는 1650년(효종 17)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아버지 장유(張維)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원찰이라고 전한다. 18세기 이후 법련사 관련 기록은 보이지 않으며 근대에 들어 지금의 법련사 건축 이력이 전해지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27년 주지 벽숭(碧崇)스님 중수하였고, 광복 이후 6.25전쟁 때 폭격으로 사찰이 훼손되었던 것을 1952년 대은(大隱)스님 중수하였다. 분단 이후 1968년 복만(福萬)스님 무너지기 직전의 관음전을 개축하고 대웅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76년 비구니 도원(道圓)스님 요사채를 중수하였고, 1981년 장유의 후손인 장씨 집안에서 철조 석가여래 좌상(鐵造釋迦如來坐像)을 만들어서 대웅전에 봉안(奉安)하였다. 법련사와 관련된 문화재는 법련사 창건 기록이 적힌 시흥시 향토유적 제2호 ‘장유 선생 묘 및 신도비’가 유일하다. 경기도 향토문화 총서인 『기내사원지(畿內寺院址)』에 따르면, 신도비에는 인선왕후가 아버지 장유의 명복을 기리기 위해 사찰을 세웠다는 창건 기록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비석의 마모가 심해 내용을 알아볼 수는 없는 상황이다. 또한 「문화재 보호법」이나 「시흥시 향토문화유산 보호조례」에 따른 문화재는 아니지만 사찰 경내에 대웅전 1동과 요사채 1동이 있다. 대웅전 안에는 철조 석가여래 좌상 1기, 후불(後佛)탱화, 신중(神衆)탱화, 칠성(七星)탱화, 독성(獨聖)탱화, 산신(山神)탱화 등이 봉안되어 있다. 덧붙여 기전문화재연구소[지금의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시행한 지표 조사에 따르면, 절터로 추정되는 조남동 산1-5에는 주춧돌과 축대가 남아 있다고 한다.
법련사에 있는 측백나무 1657년 조선 제17대 왕 효종의 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법련사(法蓮寺) 창건 기념으로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측백나뭇과로 수령 350년 이상이며 학명은 Thuja orientalis L.이다. 위로 쭉쭉 뻗은 모습은 법련사의 기운을 보호하고 있는 듯하며, 수간(樹幹)에 생긴 공동(空洞)은 온갖 풍파를 이겨낸 세월의 흔적으로 보인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주지스님 인사
존경하는 법련사 불자 여러분, 그리고 법련사를 방문해주시는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법련사는 지친 몸과 마음을 쉬어갈 수 있는 안식처이자,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해 삶의 지혜를 배우고 실천하는 수행의 공간입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함께 기도와 명상을 통해 마음의 평화를 찾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면서 올바른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법련사는 항상 열린 마음으로 여러분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부처님의 자비와 지혜를 함께 나누고, 행복한 삶을 만들어가는 소중한 인연을 맺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가정에 부처님의 가피가 충만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법련사 주지 진명 합장